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강릉상공회의소

경제정책정보

경제정책정보 상세보기
제목 제2025-4호] 최근 미국 뮤추얼펀드 국내 증권투자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출처 국제금융연구팀 작성일 20250313
첨부파일

1. 최근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자금은 주식자금을 중심으로 대체로 순유출되는 모습이다. 보다 긴 시계에서는 2020년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리스크의 상당폭 등락 등으로 자금유출입폭이 과거보다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2. 본 보고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미국 뮤추얼펀드 공시자료를 외국인 국내 증권투자에 대한 대용치로 활용하였다. 미국 뮤추얼펀드 공시자료는 국제투자대조표의 대외금융부채와 달리 투자전략, 환헤지 상세내역, 보유채권 표시통화 등의 세부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다면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3. 미국 뮤추얼펀드의 국내 증권투자는 가치평가 효과(valuation effect) 제외시 2019년 이후 대체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미국 뮤추얼펀드의 국내 증권투자 감소는 미국 뮤추얼펀드의 전체 해외 투자 감소에 따른 것으로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니다

4. 투자전략별로는 passive자금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면서 2024.3/4분기 기준 미국 뮤추얼펀드 국내 증권투자 잔액의 절반을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passive자금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뮤추얼펀드 국내 증권투자자금 유출입의 글로벌 리스크 민감도는 자산가치 변동 제외시 과거보다 높아지지 않았다.

5. 다만, 환오픈 형태 위주의 투자로 글로벌 환율 변동성에 상당히 민감한 주식자금(passive)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자금유출입 모니터링시 환율 변동성 지표에도 더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6. 한편 앞으로 WGBI 편입 및 채권자금(passive) 비중의 증가가 미국 뮤추얼펀드 국내 증권투자자금의 환헤지 비율 상승으로 이어지면서 자금유출입과 원/달러 환율 간 관계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주식자금(passive) 비중도 증가하고 있으므로 자금유출입과 환율 간 전반적인 관계는 각 자금 간 상대적인 증감폭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7. 금년 우리나라의 WGBI 편입은 외화자금시장의 수급 불균형 완화, 국고채 금리 하락 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고채 가격 고평가에 따른 회사채 등 여타 채권으로의 수요 이동으로 국내기업 등의 자금조달여건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다만, 미국 뮤추얼펀드의 미 달러화 등 기축통화 표시 채권에 대한 선호를 감안할 때 원화발행 회사채의 리스크 프리미엄을 낮추는 데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이전글, 다음글
정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민생범죄 총력 대응 - 특별단속 실시, 수사 역량 강화 등 대응방안 논의
제2025-4호] 최근 미국 뮤추얼펀드 국내 증권투자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2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

강릉상공회의소

(우)25475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종합운동장길 88 (교동)

Copyright (c) 2017 gangneungcci, All Right Reserved.